성추행 목회자 담임 사임 후 2년 만에 교회개척 물의
청년부 전도지에 남녀 성 상품화한 교회도 여론 뭇매

 

▲ 목회자의 성윤리 의식부재로 곳곳서 성폭력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교회 본연의 모습으로 회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국교회의 성윤리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다. 목회자들의 성폭력 사건이 심심치 않게 언론의 도마에 오르내리고 있다. 이는 곧 한국교회 이미지 실추에 악영향을 주며, 마이너스 성장을 부채질하고 있다.

이러한 성윤리 부재현상이 일어나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성폭력 사건을 일으킨 목회자 개인의 자격문제가 지목되고 있다. 검증되지 않은 신학교에서 무분별하게 목회자 안수를 남발하는 것도 자격미달인 잠재적 성폭력 목회자를 양산해 내는데 한몫하고 있다. 세속적인 성해방 앞에 교회의 전통적인 성도덕이 통제능력을 상실해 한국교회 전반의 성윤리가 무너지고 있다. 안타까운 것은 신격화된 담임 목사의 성폭력에도 ‘쉬쉬’하는 분위기가 지속적인 성폭력을 조장한다는 사실이다.

최근 교회 여신도 성추행 논란으로 사임한 J목사가 새롭게 교회를 개척해 잠잠했던 한국교회 성윤리 문제가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J목사는 초기 성추행 논란에 대해 강력히 저항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스스로 시인하고 사임을 표명했다. 하지만 반성의 기미를 채 보이기도 전에 새로운 지역에 교회를 개척하는 행보를 보여 모두를 깜짝 놀라게 했다. 피해 당사자와 가족들은 아직도 어둠 속에서 떨고 있음에도, J목사는 아랑곳하지 않고 또다른 불행의 씨앗을 키우고 있는 셈이다.

이에 ‘J목사 성범죄 기독교공동대책위(이하 공대위)’는 일간지와 무가지에 ‘J목사를 징계하라’는 내용의 광고를 실어 전방위적으로 J목사의 목사직 면직을 촉구했다.
공대위는 광고를 통해 “S교회 당회는 J목사의 성범죄 사실을 피해자들을 통해 확인했음에도 이를 숨기기에만 급급했다”면서, “심지어 재직회와 교인 총회에 어떤 보고도 없이 2년간 수도권 개척 금지를 합의해 전별금으로 13억 4500만원을 지급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J목사의 사죄 및 목회 중단 △S교회의 전 교회적 차원의 회개 △피해자들에 대한 S교회의 목회적 돌봄과 적절한 보상 △J목사 면직요청서 평양노회에 청원 △전별금 환수 △평양노회의 J목사 성범죄 내역 조사 및 목사직 면직을 강력히 촉구하기도 했다.

또 S교회 당회원 및 교인일동도 10월 31일자 국민일보에 ‘공개 사죄드립니다’란 제목의 광고를 실어 전임 목사의 성추행 사건과 관련 공개적으로 사죄의 뜻을 밝혔다.
이들은 “지난 2010년 7월에 불거진 담임 목사 성추행 사건으로 해당 담임목사가 본 교회를 사임한 지 20개월이란 시간이 흘렀지만 피해 당사자와 그 가족은 물론 교회 안팎으로 수많은 사람들의 마음에는 아직도 깊은 상처가 남아 있다”면서, “성추행 사건의 가해자의 비신앙적이고 무책임한 태도뿐만 아니라, 이번 사건에 대한 본 교회의 잘못된 판단과 대처는 피해자들에게 더 큰 상심과 고통을 주었다”고 속죄의 입장을 내비쳤다.

특히 “전임 목사가 피해자들에 대한 아무런 사과나 반성의 행동 없이 새로운 교회를 개척하여 피해자들은 물론 한국교회와 사회에 심각한 우려와 분노를 유발시킨 현재의 상황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면서, “본 교회가 사임처리를 유보하고, 엄정한 권징절차를 진행하였다면 이런 초유의 사태를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고 뒤늦은 회한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처럼 목회자 개인의 치욕스러운 행위로 인해 피해자들은 심각한 모욕감을 받고 있다. 한 때는 바른 성장의 모델로 한국교회를 대표하던 교회마저 흉흉한 상황이다. 하지만 오늘날 한국교회는 목회자 개인문제뿐 아니라, 교회 자체적으로 교세 부풀리기에만 혈안이 돼 성윤리에 둔감한 상황이 종종 발생되고 있다. 이에 교회본연의 모습으로 회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공교롭게도 성추행 논란에 휩싸였던 J목사의 교회명칭과 동일한 또다른 S교회가 청년부 전도 책자 속에 ‘여자친구(남자친구) 있어? 소개팅 해볼래?’라고 선정적인 문구와 사진을 실어 뭇매를 맞고 있다. 이 교회는 전도지에 일반 결혼 정보업체에서나 볼 수 있는 형태의 여성교인 사진과 나이, 이름, 직업 등을 고스란히 공개했다. 더불어 남성교인도 똑같은 형태로 만들어 마치 여성과 남성이 서로의 연인을 찾는 TV프로그램 ‘짝’을 연상시키게 했다. 혹은 아무렇게나 길거리에 흩뿌려져 있는 19금 전단지와도 흡사하게 만들었다. 더욱이 문구 중 ‘어떤 스타일이 좋아’ 등으로 인해 남녀의 성을 상품화시켰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이와 같은 비난적 여론에 S교회는 ‘물의를 일으켜 죄송하다’는 해명을 했지만, 이미 인터넷 상에 확산된 뒤이기에 수습하기에는 한발 늦었다는 지적이다. 이에 한국교회가 스스로 자정능력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교회의 외형적 성장에만 치중하지 말고, 내면적 성숙에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기독교라인(대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